문화/한국

우리 민족의 얼

myw_ 2022. 9. 17. 18:55

민족의 얼이라 하는 그 지고한 정신의 세계

민족의 얼이라는 것은 민족의 생존을 가능하게 하고, 민족문화의 꽃을 피우며, 민족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정신적인 뿌리를 말한다. 이러한 민족의 얼은 우리의 민족이 의연하게 살아갈 수 있는 용기와 신념을 주는 원동력이 되며 민족이 올바른 목표를 설정하여 그곳을 향해 나아가는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.

 

한국의 얼

1. 선비 정신 - 눈앞의 물질적 이익보다 의로움을 추구 (의리와 지조를 지킴)

2. 조화의 정신 - 많은 재료들을 섞어 맛을 내는 탕, 비빔밥

3. 장인 정신 - 한 길을 팜.(융합에서 말하는 장인정신이란? -> 마이크로 소프트의 운영체제. 시대가 변해도 변하지 않는 것. 한국의 고려청자). 투철한 직업의식 --> 훌륭한 문화유산

4. 풍류사상 풍류와 멋을 즐길줄 아는 민족. 산수를 찾아 유람하며 수련한 신라의 화랑. 

5. 생명 존중 사상, 경천 사상, 평화애호 정신, 

6. 경천사상:  하늘을 도덕적 양심의 근원으로 생각.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는 삶의 길잡이.

7. 공동체정신: '나'보다 '우리'

8. 경로효친정신: 예의와 도덕을 숭상, 부모에게 효도하고 이웃과 노인을 공경하는 것을 행동의 근본으로 여김

 

 

 

 경천사상은 하늘을 숭상하는 마음 가짐을 말하는 것으로 하늘을 양심의 근원으로 여기는 사상을 말한다. 다음으로는 생명존중사상을 들 수 있다. 이는 생명체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단군의 홍익인간, 화랑 세속5계, 동학의 인내천 사상 등이 이 생명존중사상을 근본으로 하고 있다. 다음은 조화로운 정신이다. 이는 대립과 투쟁보다는 융합과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정신을 말하는 것으로 어느 한 곳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전통 건축에서 자연과의 조화를 중요시 여기는 정신의 기본이 되고 있다.

 

다음은 평화애호정신이며 이는 다른 나라를 침략하지 않는 비폭력 정신을 말한다. 또 사람의 도리에 따라 살고자 하는 선비정신, 평생을 한가지 일에 몰두하는 장인정신, 개인보다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공동체정신, 부모에게 효도하고 노인을 공경하는 경로효친정신, 일상생활에서 풍류와 멋을 즐길 줄 아는 풍류정신 등이 우리의 민족 면면에 흐르는 얼이라고 할 수 있다.

 

 이러한 민족의 얼은 사회 곳곳에서 지금까지도 유유히 흘러내려오고 있어 국민들의 기존 정서가 돼가고 있는 셈이다. 조선시대 주요 교육기관이었던 ‘서당’역시 우리 민족의 얼을 학습하고 보존하고 익히고 전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.

 

출처 : https://www.inews365.com/news/article.html?no=52183 

 

 

문화유산에 숨겨진 비밀 ⑤ 민족의 얼과 서당문화

◇ 민족의 얼이라 하는 그 지고한 정신의 세계 민족의 얼이라는 것은 민족의 생존을 가능하게 하고, 민족문화의 꽃을 피우며, 민족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정신적인 뿌리를 말한다. 이러한 민

www.inews365.com

https://blog.daum.net/yj0422/7368909

 

https://slidesplayer.org/slide/15107379/


공부의 목적은 자신을 착하게 하고 남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함.

통치자는 백성을 위해 있는 것이다.”라고 하여 민권사상을 주장.

 '목민심서'를 지어 백성을 다스리는 관리의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밝힘

-> 정약용

 


“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.”

생명존중 사상이 자연의 미물에까지 미친다.

홍익인간

 

 

고려가요인가?

2

한글

3

 

 

 

3번

 

민족의 얼

 

 

 

3 생명존중

 

4 조화정신

1 - 풍류사상

 

4

 

 

5

생명존중사상

3

 

2